
퇴직 직전에 기업은행 퇴직연금 안내서를 받긴 했는데,
막상 퇴사하고 나니 “이걸 어떻게 신청해서 받지?”,
“한 번에 받을까, 연금으로 돌릴까?” 고민만 많고 정작 진행은 안 되더라고요.
그래서 제가 직접 기업은행 고객센터와 IRP 전담 창구에 문의해서
2025년 기준으로 기업은행 퇴직연금 수령법을 정리해봤어요!
✅ 1. 기업은행 퇴직연금이란? – DB형, DC형, IRP 모두 가능
DB형 | 퇴직 시점 평균임금 × 근속연수로 계산 |
DC형 | 회사가 적립하고 직원이 직접 운용한 계좌 |
IRP | 개인형 퇴직연금 (퇴직금 + 추가 납입 가능) |
→ 퇴직 후엔 DB·DC 모두 IRP 계좌로 이전 가능
→ 기업은행에서 IRP 계좌도 함께 운영할 수 있어요

✅ 2. 기업은행 퇴직연금 수령 방법 요약
① 일시금 수령 | 직접 계좌로 수령 | 퇴직소득세 부과 |
② 연금 수령 (IRP 이전) | IRP 계좌 개설 후 분할 수령 | 연금소득세 3.3~5.5% |
③ IRP 계좌 유지 | 운용수익 발생, 추후 연금 수령 | 연말정산 세액공제도 가능 |
👉 가장 유리한 방법은?
✅ IRP로 이전 + 55세 이후 5년 이상 분할 수령 = 세금 최소화!

✅ 3. 기업은행 퇴직연금 수령 절차 (IRP 이전 포함)
① 퇴직 후 2주 내
📩 회사로부터 '퇴직연금 지급 안내서' 수령
② 기업은행 방문 or 스마트뱅킹 앱 이용
🏦 가까운 IBK 기업은행 영업점에서
👉 [IRP 계좌 개설 + 연금 전환 상담] 가능
📱 IBK 퇴직연금 앱 또는 i-ONE 뱅크 앱으로도 일부 신청 가능
③ IRP 계좌로 퇴직연금 이전 신청
✅ DC형, DB형 모두 가능
✅ 이전 후에는 예금/펀드/ETF 등 직접 운용 가능
④ 연금 개시 신청 (만 55세 이상)
⏳ 연금 수령 기간 설정 (최소 5년 이상)
💸 수령 주기: 월/분기/반기/연 단위 중 선택 가능

🧾 4. 세금은 얼마나 절감되나요?
일시금 수령 | 퇴직소득세 정산 | 실효세율 약 7~20% |
연금 수령 (IRP) | 연금소득세 3.3~5.5% | 매우 저렴 |
연금 조건 미달 시 | 기타소득세 16.5% | 주의 필요 |
💡 55세 이후, 5년 이상 분할 수령만 지키면 세금 반 이상 아낄 수 있어요!

🔧 5. IRP 수령 시 꿀팁 (기업은행 기준)
✅ IRP 계좌 운용 가능 자산
- 정기예금, 채권, 국내외 펀드, ETF 등 다양
- 안정형~공격형 상품 직접 선택 가능
- 예금 100% 운용도 가능 → 원금 보장 원할 시 유리
✅ 추가 납입 시 세액공제 가능
- 연 600만 원 한도 세액공제 (총 급여 1.2억 미만 기준)
- 이직 후에도 계속 납입 가능 = 노후 대비에 좋아요
✅ 운용 수수료 확인 필수
- 기업은행 IRP는 수수료 저렴한 편
- 운용관리수수료 최대 0.45% 수준

📞 6. 궁금할 때는 어디로 문의하나요?
IBK 퇴직연금 고객센터 | 1566-2566 (평일 9시~6시) |
기업은행 홈페이지 | www.ibk.co.kr |
모바일앱 | i-ONE Bank, IBK퇴직연금 앱 |
영업점 방문 | 가까운 기업은행 지점에 퇴직연금 담당자 배정됨 |

✅ 결론 : 기업은행 퇴직연금은 IRP로 옮겨 연금 수령하면 가장 유리합니다!
✔ 퇴직 즉시 IRP 계좌 만들고, 연금 수령 조건(만 55세, 5년 이상)을 갖추면
✔ 세금은 반 이하로 줄고, 운용수익도 챙길 수 있어요
✔ 기업은행은 수수료도 낮고, 상담도 잘해주는 편이라 IRP 계좌로 적합해요!
무조건 일시금보다 IRP+연금 전략이 더 똑똑한 선택입니다 😊

[퇴직연금 꿀팁모음]
'최신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금저축 세액공제 확인서 발급 및 신청은? (2) | 2025.07.17 |
---|---|
퇴직연금 의무가입대상 궁금하셨죠? ✅ 2025년 기준 총정리 (1) | 2025.07.06 |
국민은행 퇴직연금 수령방법 3분 총정리 (0) | 2025.07.05 |
DC형 퇴직연금 수령방법 궁금하셨죠? (0) | 2025.07.05 |
퇴직연금 수령방법 최신 가이드 (2) | 2025.07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