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 그냥 400만 원만 넣었는데, 잘못한 거였더라고요”
연금저축 하면 다들 “연말에 400만 원 넣으면 세금 돌려받는다”라고 알고 있죠?
저도 그렇게 알고, 매년 자동이체 33만 원씩 해왔어요.
근데 어느 날 세무사 친구가 그러더라고요.
“소득 따라 공제율이 다른데, 너는 13.2% 적용이니까 실제로 돌려받는 건 52만 원 정도밖에 안 돼.”
“퇴직연금이랑 합쳐서 700만 원까지도 세액공제 받는 사람도 있어.”
그때 처음 알았어요.
단순히 400만 원만 넣는다고 끝이 아니라,
소득, 공제율, 기존 퇴직연금 여부까지 계산해야 진짜 제대로 세금 환급받을 수 있다는 걸요.
오늘은 제가 알아본 걸 바탕으로,
직장인·자영업자 기준으로 세액공제 한도 계산하는 법을 딱! 알려드릴게요.
단순한 공식 + 표 + 실전 예시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계산할 수 있어요!
📌 목차
- 연금저축 세액공제 기본 구조
- 연금저축 vs 퇴직연금 공제 한도 총정리
- 연소득에 따른 세액공제율 정리
- 세액공제 환급액 계산 공식
- 실전 예시: 연봉별 얼마나 돌려받을까?
1. 연금저축 세액공제 기본 구조
연금저축에 납입한 금액 중 최대 400만 원까지
세액공제 대상으로 인정받을 수 있어요.
✅ 여기서 중요한 건
세액공제는 "소득공제"와 달라요!
- 소득공제는 세금 계산 대상이 되는 소득을 줄여주는 것
- 세액공제는 세금 자체를 빼주는 것 (더 강력함💥)
2. 연금저축 vs 퇴직연금 공제 한도 비교
연금저축 단독 | 400만 원 | 누구나 가능 |
퇴직연금(IRP 포함) 단독 | 300만 원 | 근로자/사업자 모두 가능 |
연금저축 + 퇴직연금 동시 | 최대 700만 원 | 단, 연금저축은 400만 원까지 인정됨 |
즉,
👉 연금저축 400만 원 + IRP 300만 원 납입하면
👉 700만 원 전액 세액공제 대상이 되는 구조입니다.
3. 연소득에 따른 세액공제율
5,500만 원 이하 | 16.5% 적용 |
5,500만 원 초과 | 13.2% 적용 |
※ 종합소득금액 기준일 경우:
- 4,000만 원 이하 = 16.5%
- 초과 = 13.2%
💡 여기서 말하는 '총급여'는 연봉이 아니라 근로소득 총액이에요!
보통 연봉 기준으로 보면 유사하게 계산됩니다.
4. 세액공제 환급액 계산 공식
✔️ 기본 공식 예시
- 총급여 4,500만 원인 직장인이
- 연금저축 400만 원을 납입했다면:
→ 400만 원 × 16.5% = 66만 원 환급
- 총급여 6,500만 원이면?
→ 400만 원 × 13.2% = 52만 8천 원 환급
5. 실전 예시 – 연봉별 계산표 (2025년 기준)
3,000만 원 | 16.5% | 400만 원 | 66만 원 |
4,800만 원 | 16.5% | 300만 원 | 49만 5천 원 |
5,600만 원 | 13.2% | 400만 원 | 52만 8천 원 |
6,500만 원 | 13.2% | 300만 원 | 39만 6천 원 |
7,500만 원 | 13.2% | 400만 원 | 52만 8천 원 |
💡 퇴직연금(IRP)까지 함께 넣으면 최대 700만 원 x 공제율로 계산 가능!
✅ 나에게 맞는 최적 환급액, 꼭 계산해보세요!
연금저축은 무작정 400만 원 넣는다고 다 환급받는 게 아니에요.
소득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지고,
퇴직연금과의 조합에 따라 700만 원까지 세금 혜택이 커질 수 있어요.
그러니까 지금!
✅ 총급여 확인
✅ 올해 납입한 금액 체크
✅ 공제율 곱해서 환급 예상액 계산
이렇게만 해도
👉 연말정산 미리 준비할 수 있고
👉 불필요한 세금 납부도 줄일 수 있어요!
🏷️ 도움되는 정보모음
'최신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금저축 세액공제 궁금하셨죠? – 이대로만 하면 115만 원 돌려받습니다[2025년 기준] (1) | 2025.07.19 |
---|---|
연금저축 세액공제 5,000만 원? 오해입니다 – 진짜 의미는 ‘공제율 차이’입니다 (0) | 2025.07.18 |
연금저축 세액공제 확인서 발급 및 신청은? (2) | 2025.07.17 |
퇴직연금 의무가입대상 궁금하셨죠? ✅ 2025년 기준 총정리 (1) | 2025.07.06 |
국민은행 퇴직연금 수령방법 3분 총정리 (0) | 2025.07.05 |